반응형
참고 : 페이지2 곽상준부지점장님 (3/4) , 증시셔터맨 박제형차장님(3/4)

연방준비제도(FED)에서 신종코로나 사태에 대응하여 금리 인하를 했다.
그런데 미국시장은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 하락마감하였다.
지금 이 상황은 미국시장 느낌이 어떤가면 해달라는 거 다해주니까 더 달라는 느낌(?)이다.
금리인하는 됐고! 양적완화는 왜 안해주는데!?라고 소리치듯이 말이다.

이러한 상황들이 국내 증시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오늘 한국증시는 강한 상승으로 마감하였다. 글로벌리하게 비교해도 많이 올랐다.
한국 증시가 오른 이유는 무엇일까?
확진자 수, 환율, 금리를 원일으로 본다.
확진자 수 증가에 대한 공포심이 중국,한국,미국으로 이동하고있다.
외국인이 파는 이유는 확진자 수 보면서 매도를 하고 있었다. IT를 주로 팔고있는데 공급체인에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보고있다.
금리가 이제 정상화되었다. 한국 기준금리가 더 높아졌다.
- 미국금리인하로 오히려 미국에 공포감을 키웠다느 의견이다. 파월이 무엇을 봤길래 저렇게 급격하게 낮춘걸까 ?
달라지수가 엄청난 속도로 빠지고 있다 (아래 사진 참고)
- 미국은 오를거야! 하는 마인드가 사라지고있다.


앞으로 주목해야할 포인트는 무엇일까?
1분기 경제지표들이 박살이 났다. 이러한 상황들이 경기하강으로 갈 것인가 ?
중국은 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 200조를 한번 풀었는데 이 금액이 또 부족해서 또 푼다면,,?
반응형
'주식 > 글로벌경제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유가 하락원인 분석 및 전망을 알아보자! (0) | 2020.03.10 |
---|---|
미국 금리인하가 시사하는 바는 무엇일까? (0) | 2020.03.05 |
미국 증시 폭락, 일시적 조정? 국내증시의 방향은? (0) | 2020.02.25 |
지금 중국 이모저모 상황 (코로나 공포, 주가) (0) | 2020.02.23 |
현재 환율 상황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0) | 2020.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