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이 흐르는 경우
COMPASS 캘리를 해준다.
GPS 스탠드가 꺾였는지, 11~12시 방향으로 화살표를 맞추었는지, 고정이 잘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각종 센서 캘리브레이션을 시행한다
프로펠러의 마모 정도를 확인하고 교체해준다
이륙 시 한쪽으로 급격하게 쏠려서 이륙하는 경우
모터의 회전 방향과 프로펠러의 정역 피치 확인 및 프로펠러의 파손여부, 모터에 맞는 방향이 체결되었는지 확인한다.
ESC캘리브레이션이 모터별로 동일하게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
드론이 비행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드론의 세팅을 확인한다 ( 비행모드 )
조종기 작업모드가 수동으로 되어있는지 확인한다(농업용)
조종기 캘리브레이션 실시
충돌 후 한쪽 프로펠러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회전하지 않는 쪽의 모터를 점검한 후 이상 발견 시 모터를 교체한다.
모터 교체 후에도 같은 증상 반복 시 변속기, Fc 순서로 정상작동여부를 확인하여 교체한다.
ESC에러 메시지가 발생하는 경우
변속기와 파워보드가 올바르게 연결되어 있는지, 단선 여부, 냉땜이 되었는지를 육안이 아닌 손으로 집접 잡아당겨보며 확인한다.
ESC 캘리브레이션 실시한다
짐벌이 갑자기 움직이지 않는 경우
짐벌의 무게 중심이 잘 맞는지 그리고 짐벌 모터 구동부위에 저항을 가하는 부분이 있느 지 확인하고, 저항을 가하는 요소를 제거한다. 카메라를 장착해야 하는 짐벌의 경우 장착 후 무게중심을 반드시 맞추어야 한다.
배터리 충전이 되지 않는 경우
배터리 체크를 통해 배터리의 각 셀을 확인한다.
충전 시 밸런스 충전을 하여 각 셀당 밸런스가 무너지지 않게 관리한다. 또한 사용 후 배터리의 셀을 체크하여 밸런서를 맞추어 보관한다.
배터리 충전기의 설정이 올바르게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카메라의 영상이 화면에 나오지 않는 경우
카메라의 영상 커넥터 쪽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카메라의 영상 출력이 드론의 영상 송수신기에 잘 정착되었는지 확인한다.
DJI의 기자재를 사용하는 경우 영상 송수신 장치의 신호를 확인하고 출력 모드가 아날로그, 디지털 모드인지 확인한 후 DJI의 앱에서 설정한다.
프로펠러 회전 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프롭과 모터의 체결상태를 확인한다
최근 많이 사용되는 폴딩형 프로펠러는 프로펠러와 모터의 조임 강도가 서로 다를 때 진동이 발생한다. 조임의 정도는 손ㅇ로 가볍게 움직였을 때 헐렁하지 않게 움직이는 정도이다.
프로펠러의 외관 상태를 확인한다.
기체가 침수되었을 때
해수에 빠진 경우는 산화가 빨리되어 정비가 불가능하다
담수에 빠진 경우 기체 전체를 세척한 후 제습으로 모든 습기를 완전히 제거한다. 그다음 파워 보드부터 모터까지 테스트하여 손상된 부품을 파악한 후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전자,드론,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의 작동 원리 (0) | 2024.01.31 |
---|---|
개발 기초 용어 (0) | 2024.01.23 |
드론 조종기 세팅 및 기본 설정법 (0) | 2019.12.27 |
방제드론 E610 드론 기체 사양 정리 및 설명 (0) | 2019.12.27 |
드론 구성품의 종류와 기능 (드론 초보자를 위한 기초 내용) (0) | 2019.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