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전자,드론,IT

DNS에 대한 간단한 개념

by 뽀리아빵이 2024. 2. 11.
반응형

DNS가 생긴 이유

숫자로만 나열된 IP 주소들을 기억하기 힘들어서 DNS가 생겼다. DNS는 뭔가? 

 

도메인 이름은 최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져있다.  en.wikipedia.org 를 뜯어보자. wikipidia는 차상위 도메인 이름이고 com이 최상위 도메인 이름이다. en은 호스트 이름이다. 

 

도메인은 통제영역에 따라 영역에 이름이 있는데, 

1. en : 하위영역, 서브도메인 영역이라고 한다

2. .wikipedia : 도메인 영역이다. 도메인 이름은 국제인터넷주소 관리기구에서 도메인 이름 판매를 허가받은 단체, 대행업체를 통해 누구나 사서 쓸 수 있다. 

3. .org : TLD 영역이라고 한다. 일반 최상위 도메인과 국가코드 (.kr, .jp 등) 최상위 도메인으로 나뉜다. 

 

도메인 이름은 어떻게 ip 주소로 변환될까?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홈페이지 공급자)는 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보내주는 DNS 서버를 운영하고있다. 

DNS를 요청하면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검색해서 브라우저가 올바른 서버에 보내도록 한다. 이걸 '로컬 DNS 변환기'가 한다.

로컬 DNS 변환기가 IP 주소를 알고있으면 바로 응답이 가능하지만 모를 경우엔 최상위 게층 서버(루트 서버)에 문의한다. 루트서버도 모르면 최상위 도메인의 IP주소를 알려준다. 

 

 

반응형

'전기,전자,드론,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화에 대한 간단한 개념  (0) 2024.02.11
HTTP와 HTTPS의 차이  (0) 2024.02.11
통신 프로토콜 간단 설명 : UDP, TCP, QUIC  (1) 2024.02.04
데이터 패킷이란?  (0) 2024.02.04
인터넷의 작동 원리  (0) 2024.01.31